스포츠JOB아먹기

스잡알의 실무자 Job인터뷰를 만나보세요.

검색
  • [스포츠JOB아먹기(93) 권혁주] 스포츠심리상담사에게 가장 중요한 역량은?

  • 2022.09.24

[스포츠잡알리오 허건민 객원기자] 운동선수가 최고의 경기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체력, 기술, 전략 등이 필요하다. 3가지 못지않게 중요한 요소가 하나 더 있다. 바로 불안하고 긴장되는 순간을 이겨낼 수 있는 강력한 멘탈이다.

스포츠심리상담사는 심리기술훈련을 통해 선수들이 실전에서 최상의 퍼포먼스를 내도록 지원한다.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요구되는 라이프 스킬, 자기 관리 등 부수적인 교육도 제공하는 직업이다. 

스포츠잡알리오(스잡알) 미디어스터디팀 스미스가 93번째로 인터뷰한 인물은 멘탈퍼포먼스 소속 스포츠심리상담사 권혁주 박사다. 



- 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멘탈퍼포먼스 소속 스포츠심리상담사 권혁주입니다.”

권혁주 박사. [사진=본인제공]
권혁주 박사(왼쪽). [사진=본인제공]



- 어떤 계기로 스포츠심리학에 입문하게 되었는지 궁금합니다.

“저는 일반 심리학을 전공했어요. 심리학을 공부하던 중 운동을 좋아해서 아마추어 대회랑 동아리 대회를 많이 나갔습니다. 이때 선수들이 경기 직전 또는 졌을 때 우는 경우가 많더라고요. '취미로 활동하는 선수들도 이렇게까지 힘들어하는데 프로들은 얼마나 더 힘들까'라는 궁금증이 생기더라고요. 프로들은 어떤 심리적인 케어나 상담을 진행할까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면서 입문하게 되었습니다."



- 일반심리학과 스포츠심리학이 다른 점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목적과 대상이 다릅니다. 스포츠심리학의 주된 목적은 경기력 향상입니다. 일반심리학은 병리적인 문제를 가지고 계신 분들이 일상생활로 복귀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반면 심리적으로 병적인 부분을 가진 선수들은 많지 않거든요. 그래서 스포츠심리학은 보통 수준의 멘탈을 최상으로 만드는 것에 집중합니다. 선수들은 굉장히 떨리는 순간에 그동안 노력해온 최고의 퍼포먼스를 보일 수 있게 하기 위해 상담을 받습니다.”



- 스포츠심리상담사가 되기 위한 과정이 궁금합니다.

"대학원 진학이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내담자 즉 선수나 지도자, 혹은 학부모님들께서 학부생에게 상담을 맡기기는 쉽지 않거든요. 대부분은 석박사 이상의 학력을 가진 분들께 상담을 맡기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공부적인 측면에서도 스포츠심리학을 더 깊게 이해하고 현장 경험을 쌓기 위해서는 대학원 진학이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스포츠심리상담사 자격증을 취득해야 합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에서 주관하는 자격증을 취득하시는 걸 추천해요. 1,2급을 취득하신다면 상담을 진행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집니다.”

펜싱 국가대표 선수들과 권혁주 박사. [사진=본인제공]
펜싱 국가대표 선수들과 권혁주 박사. [사진=본인제공]



- 스포츠심리상담사에게 가장 중요한 역량은 무엇인가요. 

“인성과 소통 능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어린 학생선수들을 많이 만나기 때문에 인격적으로 성숙하지 못하면 이 일을 하는 데 있어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 같습니다. 또한 사람과 사람이 만나 이루어지는 일이기 때문에 소통 능력이 매우 중요한 것 같아요. 추가적으로 본인이 남을 이해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



- 심리 상담을 진행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가 있다면요. 

“선수 입장에서 생각하는 것입니다. 처음 상담사 일을 시작했을 땐 배운 것을 알려주기에 바빴어요. 선수들이 배우고자 하는 의욕이 있는지, 배운 것을 활용할 수 있는 환경에 있는지 등 고려해야 할 요소가 많은데 이를 간과했던 것 같아요. 따라서 선수 입장에서 무엇이 필요한지 정확히 파악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알려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본인만의 멘탈 관리 비법이 있다면?

“감정이 무너지는 순간에는 저도 대처하기가 쉽지 않아요. 그래서 저는 '역치값'을 정해놓습니다. 상대방이 의도적으로 내 감정을 상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면 참아보려고 노력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즉, 제 역치값이 넘어가게 되면 감정을 표출하는 것 같아요.

감정이 아니라 생각을 정리해야 하는 상황일 때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잡생각이 너무 많아 지금 나에게 주어진 일을 할 수 없다면 최대한 머리를 비우려고 노력합니다. 복잡한 그림을 그리거나 빠르게 진행되는 게임을 해서 최대한 생각을 하지 않으려 노력합니다.”



- 스포츠심리상담사가 되는 과정에 있어 힘든 점이 있었다면?

“스포츠심리상담사를 준비하며 수많은 사람을 만났어요. 다양한 사람들의 말에 흔들리는 순간이 많았는데 저만의 확고한 철학을 믿고 버텨냈던 것 같습니다. 특히 저처럼 선수 출신이 아닌 사람들은 체육 집단에 적응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때 '이 일이 아니면 안 된다'는 확고한 믿음으로 버틸 수 있었습니다. 아직 이겨냈다고 생각하지 않아요. 버티는 중입니다.”

교육을 진행하고 있는 권혁주 박사. [사진=본인제공]
교육을 진행하고 있는 권혁주 박사. [사진=본인 제공]



- 앞으로의 계획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목표는 '많은 선수를 만나는 것'입니다. 제 나이 또래의 상담사들에게 비하면 경력이 많다고 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상담은 상대적인 것이 아니라 절대적인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일반심리학을 공부할 때 교수님께서 '한 명의 제대로 된 상담사가 발현되기 위해서는 천 명의 내담자가 필요하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아직 200~300명밖에 못 만난 저에게는 아주 먼 미래죠. 지속해서 현장에서 선수들과 호흡하고 그들이 겪고 있는 문제를 계속 느낄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스포츠심리상담사를 꿈꾸는 분들께 한 마디 부탁드립니다.

“조급함을 버리세요. 빨리 유명한 팀에 들어가 선수를 만나서 상담하고 싶어 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는 굉장히 위험하고, 지양해야 할 생각이라 봅니다. 사람을 만나는 일이기에 많은 고민이 필요하고 경험이 필요합니다.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담을 진행하는 것은 너무 위험한 것 같아요. 조급함을 내려놓으시고 철저하게 준비하시는 추천해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