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타이틀
스잡알의 실무자 Job인터뷰를 만나보세요.
[스포츠JOB아먹기(184) 방준호] 야구단·축구단·협회를 경험한 스포츠마케터
2025.02.24[스포츠잡알리오 김수민 객원기자] 프로스포츠 구단이나 협회·연맹에 입사하기를 희망하는 대학생들이 여럿이다. 프로야구(KBO리그)가 사상 첫 1000만 관중을, 프로축구(K리그)가 2년 연속 300만 유료관중을 돌파하면서 관심도는 더욱 높아졌다.
- 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고향팀, 창단팀 그리고 최다우승팀에서 프런트로 근무했던 방준호라고 합니다.”
- 스포츠산업에 입문한 계기는.
“초등학교 때부터 축구와 야구를 즐겨하며 스포츠를 좋아했습니다. 선수를 제외하고 스포츠 업계에 종사할 수 있는 직업이 무엇일까 알아봤습니다. 2002년 월드컵 이후 우리나라의 스포츠마케팅이 활성화되면서 그런 직무가 있다는 것을 처음 알게 됐어요. 스포츠 2.0이라는 주간 잡지를 모으며 꿈을 키웠습니다.”
- SK 와이번스(SSG 랜더스 전신) 대외활동 후 인턴이 된 과정은.
“활동 원칙 중 하나가 시리즈 중 하루 출석이었습니다. 휴학을 하고, 우천취소가 예정된 날에도 나갔습니다. 매일 야구장에 나가서 일을 도와드리니 매니저님들께서 좋게 봐주셨던 것 같아요. 내년 인턴 채용 계획을 말씀해주셨고 그렇게 지원해서 근무하게 됐습니다.”
- 입사에 필요한 역량은.
“인턴이기 때문에 직무적인 역량보다는 흡수력과 수용력을 많이 봅니다. 공모전 준비와 스터디를 하면서 새로운 아이디어와 스포츠 외적으로 넓게 볼 수 있는 시야를 갖출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 중요한 점은.
“공고가 올라왔을 때 본인이 얼마나 준비됐는지가 중요합니다. 관련 전공이 아니거나 대외활동 경험이 없다면, 여러 활동을 하되 다양하게 펼치기보다는 하나의 목표를 갖고 확고한 방향성으로 활동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입사에 도움이 된 활동은.
“전공인 광고홍보에서 다양한 분야를 마케팅적으로 스터디했던 것이 도움이 됐습니다. 그리고 야구단 대학생 마케터와 인턴이라는 일관된 경험으로 스포츠의 진정성이 생겼다고 생각합니다.”
- 가장 중요한 역량은.
“마케팅을 예로 들면 광고, SNS 콘텐츠, 이벤트 운영, 상품화 기획 등 분야가 세분화돼있어요. 때문에 본인이 어느 분야에 강점이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구단에서는 대부분 보직을 순환하거나 겸직합니다. 강점도 중요하지만 여러 가지를 할 줄 알면 구단이 필요로 하는 인재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비체대 출신인데 어려운 점이 있었는지.
“입사 이후 비체대와 체대 출신 구분은 따로 없었습니다. 오히려 업무를 하면서 본인의 강점을 가진 다양한 전공자가 많았기에 크게 개의치 않았습니다.”
- 마케터에게 디자인 툴 역량이 중요한지.
“첫 입사 당시 프리미어 프로나 포토샵, 일러스트를 기본만 다룰 줄 알았어요. 기본만 해도 도움이 되는 부분이 많습니다. 최소한의 기초는 갖추고 있는 것이 유리하다고 생각합니다.”
- 포트폴리오에서 중요한 점은.
“몰아서 정리하기보다 프로젝트가 끝날 때마다 하나씩 정리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중요한 점은 결과보다 과정이기 때문에 프로젝트가 끝난 직후 느낀 점과 인사이트를 담아내면 좋은 포트폴리오가 될 것입니다.”
- 학점은 어느 수준 이상이면 좋은지.
“학점보다는 어떤 경험을 했고 활동 후 느낀 점은 무엇인지가 더 중요하기 때문에 최소한만 맞춘다면 큰 문제는 없습니다.”
- 서울 이랜드FC 재직 당시 업무는.
“축구단의 세일즈 마케팅 중 광고 영업을 담당했습니다. 많은 기업을 만났고 외부 스폰서십 4건을 유치했습니다.”
- KIA(기아) 타이거즈 재직 당시 업무는.
“야구단의 SNS 콘텐츠 기획, 채널 운영을 담당했습니다. 당시 구단 유튜브 채널은 행사 영상만 올라가는 채널이었어요. 연간 운영 기획안이 통과되면서 본격적으로 유튜브 채널을 키우기 시작했습니다.”
- 한국프로스포츠협회 재직 당시 업무는.
“마케팅 선진화 프로그램을 담당했습니다. 주로 프로스포츠 관련 실무자들의 마케팅 교육을 진행했습니다. 바쁜 실무자들에게 필요한 교육을 직무별, 시기별로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기획했습니다.”
- 협회로 이직한 이유는.
“축구단에 근무하면서 열악한 스포츠 인프라를 봤습니다. 프로스포츠 시장이 산업적으로 성숙하려면 제도부터 개선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거시적인 차원에서 정책적으로 시도해 보고자 이직하게 됐습니다.”
- 구단에서 협회로 이직 성공 비결은.
"서울 이랜드 재직 당시, 한국프로축구연맹이 주최한 K리그 아카데미에 참여한 게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K리그 아카데미는 구단 실무자 대상으로 주기적으로 개최하는 교육입니다. 한국프로스포츠협회에서 계획 중인 사업에서 K리그 아카데미를 타 종목까지 확장하는 사업이 있어 도움이 된 것 같습니다."
- 이직이 힘든 점은.
"함께 일하는 동료들이 바뀌는 것입니다. 운 좋게도 이직할때마다 좋은 선배와 동기들을 만나 많은 도움을 받고 잘 적응할 수 있었습니다."
- 야구단, 축구단, 협회의 공통점은.
“대부분 스포츠를 좋아하세요. 스포츠를 좋아해서 오시는 분들이 많고 그런 분들이 힘든 일도 잘 버티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조직의 목표가 스포츠의 비즈니스화이기에 스포츠를 산업적 관점에서 생각합니다. 관련된 제도나 환경의 개선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 공통점이라고 생각합니다.”
- 각 조직의 차이점은.
“축구단 중 시(도)민구단 같은 경우는 관청 위주의 비즈니스가 많습니다.
야구단은 최근 몇몇 구단에서 상품화 직영을 시도하고 있는데요. 산업 규모가 커졌기 때문에 비즈니스화에 초점을 두고 사업을 진행하는 것 같습니다.
협회는 구단과 달리 현장에 가는 경우가 많이 없습니다. 현장보다는 문화체육관광부와 일을 하거나 정책 사업을 추진하기 때문에 스포츠가 좋아서 오신 분들은 생각과 다른 환경에 당황할 수도 있습니다.”
- 마케팅팀과 홍보팀의 차이는.
“마케팅팀은 대내 고객 업무를 담당하고 홍보팀은 대외 언론 업무를 담당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마케팅팀은 고객의 반응을 느낄 수 있고 피드백을 빨리 얻는 것이 특징입니다. 힘들긴 하지만 보람도 얻는 직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홍보팀은 보이지 않는 곳에서 방송사나 언론 기자들을 상대하기 때문에 경기 종료 후 할 일이 많습니다. 쉬는 날에도 기자들에게 여러 가지 질문을 받거나 응대하는 상황이 많은 편입니다.”
- 야구단과 축구단의 출근 일정 차이는.
“선수들과 반대라 보시면 될 것 같아요. 야구는 내 순서가 왔을 때 들어가지만, 축구는 계속 뛰어야 하잖아요. 프런트 입장에서 야구는 매일 경기하기 때문에 계속 뛰어다녀야 되고 축구는 일주일에 한두 번 있기 때문에 매 경기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인 것 같습니다.”
- 협회와 구단의 워라밸 차이는.
“협회는 일반 직장인과 같이 평일에만 근무합니다.
구단을 보면 야구단 워라밸이 가장 낮습니다. 시즌 중 홍보팀과 운영팀은 월요일만 쉰다고 보시면 됩니다. 원정 출장의 경우 운영팀은 다 따라다니고 홍보팀은 절반 정도 나눠서 따라다닙니다. 마케팅팀은 홈경기 때 근무하지만 평일 경기는 저녁 시간이기에 일반 직장인과 다른 생활 패턴으로 근무할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 보람찼던 순간은.
“서울 이랜드 창단 첫 경기 전날 가변석 설치에 문제가 생겨 밤새 준비하고 치렀던 적이 있습니다. 경기 날에 그림도 예쁘게 나오고 제 손으로 역사적인 경기를 진행했기 때문에 가장 뿌듯한 순간으로 남아 있습니다.”
- 본인이 생각하는 스포츠마케터란.
“스포츠만이 가진 건강하고 긍정적인 에너지를 모든 사람에게 알리는 역할이라고 생각합니다.”
- 스포츠는 어떻게 정의되는지.
“성장 스토리라고 생각합니다. 결과만 본다면 모두가 1등 팀 팬이어야 하잖아요. 하지만 각자 원하는 팀이 있고 그 팀이 아무리 강팀이더라도 맨날 이기고 우승하는 것도 아니기에 실패 과정과 성장하는 과정 속에서 배우는 것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 다시 대학생으로 돌아가도 이 직업을 선택할 것인지.
“똑같습니다. 돌아간다면, 실무를 할 때 더 제 마음대로 해볼 것 같아요.”
- 스포츠산업에 종사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한마디.
“스포츠를 좋아하시는 분들이라면 세대교체에 목말라 있는 팬분들이 많을 거예요. 스포츠는 언제든지 새로 나타나는 슈퍼스타들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여러분이 그 세대교체를 이룰 수 있는 슈퍼스타가 되길 응원하겠습니다.”
상호명 : 스포츠잡알리오 | 사업자등록번호 : 204-27-41240
직업정보제공사업 : 서울청 제2020-12호
사업자등록번호 : 204-27-41240
Copyright ⓒ 2019 SPORTSJOB ALIO. All rights reserved.